Issue Information

2020 총선[21대 국회의원선거] 투표방법 총정리 (투표소 장소/ 위치, 시간, 준비물, 투표일, 신청, 사전투표) 본문

이슈 ·정보

2020 총선[21대 국회의원선거] 투표방법 총정리 (투표소 장소/ 위치, 시간, 준비물, 투표일, 신청, 사전투표)

리오레로 2020. 4. 10. 17:31

다음 주인 20.04.1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날입니다.

20.04.15 투표 참여가 어렵다면 걱정하지 마세요.

20.04.10 ~ 20.04.11 사전투표 기간에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코로나 19로 인해 어느 때보다 철저한 개인위생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투표하는 방법사전 투표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거일에 투표할 수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사전 투표하시면 되니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사전투표 방법

20.04.10 ~ 20.04.11 이틀간 06:00 ~ 18:00까지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 어디에서나 별도의 신고 없이 투표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신분증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신분증)

투표소 위치 찾는 방법

아래 사이트 접속 후 자신의 '·도'를 선택하고 '·시·군'까지 선택한 뒤 검색 클릭하시면 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info.nec.go.kr

 

관내 선거인과 관외 선거인

관내 선거인이란?

해당 구·시·군위원회 관할구역 내에 주소를 두고 있는 선거인

(하나의 구·시·군위원회 관할구역에 2 이상의 지역구 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국회의원 지역구)

 

관내 선거인 사전투표 절차

1. 신분증 확인

2. 본인 확인

3. 투표용지(2장) 받기

4. 도장 찍기

5. 투표함에 투표지 넣기

 

관외 선거인이란?

관내 선거인을 제외한 선거인

 

관외 선거인 사전투표 절차

1. 신분증 확인

2. 본인 확인

3. 투표용지(2장)와 봉투 받기

4. 도장 찍기

5. 봉투에 넣고 붙이기

6. 투표함에 봉투 넣기

 

사전투표제별도의 신고를 하지 않아도 관내 거주인 / 관외 거주인 모두 주소와 관계없이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만 있으면 선거일 직전 20.04.10 ~ 20.04.11 (금요일 ~ 토요일) 전국의 모든 읍·면·동사무소에서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0.04.15 총선 투표는 무엇보다 개인위생 관리를 잘 지켜서 안전한 투표 참여가 필요합니다.

 

안전하게 투표하는 방법 

*대국민 행동수칙

1. 어린 자녀와 투표소에 동반하지 않아야 합니다.

2. 투표소 가기 전 비누로 꼼꼼하게 30초 이상 손 씻어야 합니다.

3. 필수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합니다.

4. 투표소 입구에서 꼭 발열 체크손 소독제로 소독한 후 일회용 비닐장갑 착용해야 합니다.

(일회용 비닐장갑은 투표소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사전 투표 / 20.04.15 투표 참여 시 다른 선거인과 1m 이상 거리 두어야 해요!

불필요한 대화 자제하기 등 투표 참여 '대국민 행동수칙'을 안전하게 지키면서 투표에 참여해야 합니다.

(사전) 투표소에서 본인 확인 시 마스크를 잠깐 벗거나, 살짝 내리시면 좋습니다.

 

21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 절차

1. 대국민 행동수칙에 따라 1m 이상 거리를 두고 신분증을 제시한 후 선거인명부에 서명합니다.

2. 투표용지를 2장 받습니다.

3. 기표용구로 지역구 투표용지에 한 명의 후보자에 투표하고, 비례대표 투표용지에는 하나의 정당에 기표합니다.

4. 기표내용이 보이지 않게 2장을 접어서 투표함에 넣습니다.

 

※주요 안내사항※

투표권 확대

만 18세(2002.04.16 이전 출생자)부터 투표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투표시간 보장

근로자는 사전투표 기간(20.04.10 ~ 20.04.11)과 선거일(20.04.15)에 모두 근무할 경우 고용주에게 투표시간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20.04.15 투표 참여가 어렵다면 20.04.10 ~ 20.04.11 사전투표 기간에 꼭 투표를 참여하시기를 바랍니다.

 

 

Comments